반응형

서울에서 금요일 저녁, 퇴근후에 출발해

수우도 해골바위 1박 후 다시 돌아왔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해골바위 박지는 너무 위험하고

해골바위 내 박지가 염소 배설물로 인해 암모니아 냄새와 함께 너무 더러웠습니다.

하지만 모험과 함께 멋진 1박을 원한다면 추천합니다.

 

 

글 읽기전에 광고 한번씩만 눌러주세요.

글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 평일기준 서울남부터미널 -> 삼천포 터미널로 가는 시간표 입니다.

 

넉넉잡아 4시간30분정도 버스를 타고 삼천포 시외버스 터미널에 도착했습니다.

 

 

수우도로 들어가는 배가 오전 6시30분에 있기 때문에 주말을 이용해서 

해골바위를 간다면 반드시 금요일 저녁에는 출발 해야합니다.

 

배는 하루에 총 2번 밖에 없으므로 아침배를 무조껀 타야합니다.

 

** 그리고 배는 기상상황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6시 30분 정각에 출발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그러니 넉넉하게 20분정도는 일찍가는게 좋습니다.

 

아래에서 혹시 바뀔지 모르는 배 시간을 첨부했습니다.

 

http://xn--vk1bm4x7se3war1q68lkuc.com/sailing/schedule.php

 

삼천포해운

삼천포여객선터미널, 사량도, 수우도 여객선예약센터, 사량도배편, 수우도배편, 사량도 여객선, 수우도 여객선, 사량도 배시간, 수우도 배시간

xn--vk1bm4x7se3war1q68lkuc.com

 

 

 

가는동안 일출과함께 약 30분?1시간? 정도를 배를타고 도착했다.

 

 

 

해골바위에 2p텐트기준 2~3동 정도의 여유가 있습니다.

그래서 해골바위에서 제일 넓은 좋은 자리를 잡기 위해서 경쟁이 생길수도 있다.

꼭 좋은자리에서 1박 하고싶다면, 빠르게 내리고 빠르게 산을 타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배에서 내리면 바로 보이는 수우도 지도입니다.

빨간색으로 동그라미쳐 놓은곳이 해골바위입니다.

 

결론은 저곳을 향해서 계속 등산하면 됩니다.

 

자세한 코스는 내용은 유튜브에 검색하시면 바로 나옵니다.

중간중간 유튜브를 보면서 가세요!

 

등반시 주의할점이 있었다.

이것때문에 알바를 하게 됐다.

 

1. 등산중 고래바위쪽으로는 가지말것.

 

2. 약간 정상같은곳에서 한번 지도가 나오는데

누가 해골바위를 반대로 표시 해놔서 반대로 한번 내려갔던 기억이 있다.

등산로-> 정상->오른쪽으로 계속 가야한다.

 

3. 2번에 속았던 이유는 한 10m~20m뒤에서 봤을때는 절벽처럼 길이 안보였기 때문에

길이 없을거라고 생각하고 그 표시를 따라 갔는데.

알바 한번하고 다시 올라가서 조금 가까이서 보니깐 길이 있었다.

 

그러면 다른 블로그나 유튜브에서 소개해주는 돌탑을 볼수 있다.

 

딱 3번의 암벽을 타고, 기어서 내려가기를 반복하면 

해골바위에 도착해 있을것이다. 혼자서는 절대 가지말고 같이가는것을 추천합니다.

 

만약 혼자라면 그냥 고래바위로 가는것을 추천합니다.

텐풍을 제외하고, 즉 사진빼고 눈으로볼 경치는 고래바위가 더 좋기 때문입니다.

 

모두 안캠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 서론 -

 

이번 박지는 한국의 세렝게티  인천의 무의도로 선택하였다.

 

무의도를 선택한 이유는 쉽게 대중교통으로 갈 수 있고, 경치가 좋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람들도 많다고 들어서 야간에 가도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게다가 무엇보다 해가 뜨면 경치가 매우 좋을것 같았기 때문이다.

 

 

- 이동 -

 

내가 간 경로는 우선 퇴근후 공항선을 타고 인천공항까지 간 뒤 마을버스를 타고 무의도 앞 카페까지

들어가려고 했지만, 시간이 늦어 우선 인천공항까지 뛰어갔다.

 

공항이라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항상 택시가 줄지어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에

택시를 타기로 마음 먹었다.

 

대략 택시비는 14000원 정도 나왔다.

 

도착장소는 인천광역시 중구 대무의로502번길 2 초록카페

 

무의도 초록카페

 

주소를 불러드리는게 더 낫다고 생각해서 주소를 불러드림.

 

여기에 도착하면 이제 시작이다.

 

물은 굳이 공항에서 살 필요가 없다. 

 

바로 오른쪽에 이마트 편의점이 있으므로 도착해서 살것

 

이렇게 돌아가면 

 

이런 안내판이 나온다.

이제부터 왼오오만 기억하고 출발 하면된다.

 

 

 

첫 갈림길 왼쪽

 

그리고 오른쪽 오른쪽 쭉

 

왼오오~왼오오~

사진에는 못 찍었는데 가다가 파란색 물탱크 같은것이 나오면

잘 가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계속계속 길이 막혀 있는곳 까지 가면

 

드디어 해변이 나오는데 

이 해변에서도 이런 바위를 하나 지나고 

 

 

또 하나 더 해변을 지나면

반응형

드디어 흙길과 쓰래기 더미들이 나오는데

그 길을 쭉 따라가면 오늘의 장소 무렝게티가 나온다.

 

 

 

 

 

ig - 5changseok

반응형

'취미 > 국내캠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우도 해골바위 백패킹 //  (0) 2022.11.07
2022-08-25 부산 노지 캠핑  (0) 2022.09.01
반응형

- Pydantic

 

파이썬 3.7에는 클래스를 훨씬 쉽고 원할하게 생성할 수 있는 편리한 데코레이터인 데이터 클래스가 도입되었다.

 

python에 내장된 dataclass를 이용하여 data를 작성하면 뒤에 validation이라던지 예외처리, 변환등을 다시 해줘야 했기 때문에 다른 라이브러리를 찾아보게 되었다.

 

그렇게 알게 된 녀석이 pydantic이었다.

 

철저한 데이터 검증을 필요로할 때 pydantic을 사용하는것이 많은 도움이된다.

 

지금 내가 사용하고 있는 기능들중 좋다고 느낀점은

 

1. 각 클래스 내부의 값을 정의 할때 진짜 편하다.

2. 정의 한 값들의 입력값들을 정확하게 표현할 때.

3. 그 다음 기능으로 값을 넘겨줄 때 변환하기 편하다.

4. fastapi의 자동문서화(redoc) 기능과 함께 api를 관리할때 더욱 시너지가 났다.

 

 

간단한 예제를 보면

from pydantic import BaseModel,Field


class A(BaseModel):
	no : int
	id : str = Field(alias="Id",example="root",description=" - 사용자 id")

이렇게 A라는 데이터클래스와 no, id라는 값을 정의 했다고 하면

 

1. no -> int , id-> str을 입력으로 받지 않으면 에러가 나온다.

 

2. Field -> 추가한다면 alias, example, description등을 작성할 수 있고, swagger나 fastapi의 자동문서화 기능과 연결하여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docs에 id로 표기되고 내부에서는 Id라는 키값으로 사용하고, 다시 출력할 때에는 id로 출력


4. 그 외에도 많은 기능이 있다.

data=A(no=1,Id='root')
data.dict()

=> {"no":1,"id":"root"}

 

위와같이 사용할 수 있어서.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다. 

앞으로 더 많이 공부 해야겠다고 생각든다.

 

더 많은 기능은 아래의 공홈에서 찾아보길..

 

 

https://pydantic-docs.helpmanual.io/

반응형

'work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k 비동기 처리 해보기 -> FASTAPI 사용하기  (0) 2022.07.26
flask, flask_restx, swagger  (0) 2022.07.22

+ Recent posts